Elastic Beanstalk으로 무료 클라우드 서버 사용하는 꿀팁

2021. 1. 19. 20:42개발을 파헤치다/서버 인프라

반응형

서버비용 ㅠㅜ

 

웹사이트나 앱 서비스를 론칭하려면 서버를 필수적으로 사용하게 되는데요.

1인 창업자나 스타트업 대표님들 입장에서 매달 고정적으로 빠져나가는 서버 비용은 정말 눈물을 흐르게 만들죠.

하지만 개발자 입장에서는 돈을 주고 클라우드 서비스(AWS나 GCP 같은)를 이용하는 이유가 있죠.

관리와 유지보수, 프로토타입 개발에 있어서 정말 편리한 기능들을 많이 제공해주기 때문입니다.

즉, 편리함과 비용 두 마리 토끼를 다 잡기가 여간 힘든게 아니라는 얘기죠!

 

 

1타 2피 해봅시다

이 글에서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서버 개발자가 봐도 만족하실겁니다. 굉장히 편한 방법이거든요!

대표님들, 1인 창업자라면 더더욱이 정말 눈을 크게 뜨고 봐야 할 꿀팁이 되겠습니다.

 

 

Elastic Beanstalk 간단 설명

Elastic Beanstalk

서비스 런칭을 한다고 했을 때 서버 개발은 크게 3가지 정도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1. API 개발
  2. 관리자 페이지 개발
  3. 서버 인프라 관리

정말 큰 범주로 나눈 것입니다.

하나하나가 참 알 것도 많고 할 일도 많죠.

 

1,2번이 코드 짜는 게 주 업무라면 3번은 조금 다릅니다.

온라인상에서 내 서비스가 어떻게 자리를 잡고 앱이나 웹사이트와 통신을 하는지 알아야 하거든요!

온라인 상에 내가 만든 서비스를 내놓는 작업을 배포라고 하는데요.

이 배포라는 게 꽤 골치가 아픕니다. 이것저것 해줘야 할 것이 많거든요.

 

AWS에서 제공하는 Elastic Beanstalk는 인프라 지식이 거의 없어도 내 서비스를 내놓을 수 있게 도와줍니다.

그러니까 1,2번에 집중하고 아주 최소한의 노력으로 3번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지요

 

위에서 제가 편리함과 비용은 반비례 관계라고 말씀을 드렸었는데요.

AWS에서는 혜자롭게 아주 좋은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바로 AWS Free Tier에 대해서 설명을 드릴게요.

무료 사용 조건

제일 중요한 조건은 AWS에 새로 가입한 회원 이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혹시 이미 계정이 있다면 Gmail 계정을 새로 만들어서 가입하시는 걸 추천드려요.

새로 가입한 회원에 한해서 12개월 동안 무료로 서비스가 제공됩니다.

 

당연히 완전 무료는 아니고, 사용량이 제한되어 있습니다.

AWS에서 제공하는 여러 서비스들을 제공하는데요 각 서비스에 맞게 무료 사용량 조건들이 존재합니다.

(공식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해요^^)

 

Elastic Beanstalk의 경우 내부적으로 EC2 인스턴스를 사용합니다.

이 부분만 무료 사용량 제한 조건에 대해서 알려드릴게요

 

  • 인스턴스 타입 : t2.micro
  • 월 제공 사용량 : 750시간 / 월

 

이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 감이 안 잡히실 수 있는데요.

개인 프로젝트 개발한다고 했을 때 일단 서버 비용이 아예 안 나올 정도는 됩니다.

개발용으로는 넉넉하다 이거죠! (서비스 론칭은 다른 얘기입니다)

 

Elastic Beanstalk을 무료 조건으로 구축하기

그럼 이제 어떻게 Elastic Beanstalk을 무료로 만들 수 있는지 알아봐야겠죠?

AWS를 사용할 때 다양한 설정들이 있기 때문에 잘 모르고 사용할 경우

원치 않는(?) 과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AWS 콘솔에 로그인 한 뒤, 검색창에 Elastic Beanstalk을 검색해줍니다.

눌러서 들어간 뒤, 오른쪽 상단에 새 환경 생성 버튼을 눌러주세요.

 

환경 티어 선택 화면이 나오는데요.

웹 서버 환경을 선택해줍니다.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이름을 적어줍니다.

그러면 환경 이름은 자동으로 생성되고요. 원하면 변경도 가능합니다.

 

도메인의 경우 차후에 Route 53이라는 서비스를 활용해서 구매한 도메인(실제 서비스하려면 필요합니다)에 연결시킬 수 있습니다. 

지금은 Elastic Beanstalk에서 제공하는 도메인을 사용하는 거죠.

원하는 도메인을 적고 사용할 수 있는지 버튼을 눌러 확인해줍니다.

 

이제 플랫폼을 선택해줍니다.

현재 개발 중인 언어를 선택 해주면 됩니다.

 

저의 경우 현재 Python Django로 개발 중이기 때문에

Python을 선택하겠습니다.

 

플랫폼을 선택하면 세부사항을 선택할 수 있는데요.

버전이나 OS 인스턴트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현재 개발 중인 언어 버전과 맞춰서 선택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예기치 못한 에러를 방지할 수 있거든요 :)

 

바로 환경 생성 누르지 말고 추가 옵션 구성을 눌러줍니다.

 

여기에서는 좀 더 세밀한 설정을 할 수 있는데요.

딱히 설정할 것은 없고, 구성 사전 설정에서 단일 인스턴스로 돼있는지 확인해줍니다.

 

옆에 보시면 프리 티어 사용 가능이라고 되어있죠?

이 설정을 선택하면 프리 티어 조건에 맞게 세팅이 된다는 얘기입니다.

완전 쉽죠?

 

이제 환경 생성을 눌러주면 내 프로젝트를 배포할 수 있는 온라인상의 공간이 생긴 것이랍니다.

 

반응형